본문 바로가기
육아정보

정부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자격 요건, 신청 방법은?

by 보리꽁꽁 2025. 4. 23.

아기 장난감

아이 돌봄 서비스 신청 기준, 소득 기준, 비용 총정리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복지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아이 돌봄 서비스입니다. 특히 맞벌이 가정이나 한부모 가정에서는 큰 도움이 되는 제도이죠. 이 글에서는 아이 돌봄 서비스의 신청 기준, 소득 기준, 그리고 비용에 대해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아이 돌봄 서비스란?

아이 돌봄 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돌보미가 가정을 방문해 일시적 혹은 정기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 지원 서비스입니다. 육아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아이의 안전한 양육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1. 신청 방법 및 절차

 

 

-신청 대상: 만 12세 이하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 중 맞벌이, 한부모, 장애부모, 조손가정, 다자녀 가정 등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아이 돌봄 서비스 홈페이지(idolbom.go.kr)에서 신청
  • 오프라인: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제출 서류: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신청서
  • 소득·재산 신고서 및 관련 증빙서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심사 기간: 약 2주 이내

 

 

 

 

-정부지원시간

 

  • 시간제 서비스: 연 960시간 이내
  • 영아종일제 서비스: 월 200시간 이내

 

 

2. 소득 기준 (정부지원 대상 여부 결정)

 

📌 아이돌봄 서비스 소득 유형별 기준 및 정부지원율

유형기준 중위소득 비율3인 가구 기준 소득 (월)정부지원율
가형 75% 이하 3,769,015원 이하 최대 85%
나형 75% 초과 ~ 120% 이하 3,769,015원 초과 ~ 6,030,424원 이하 최대 60%
다형 120% 초과 ~ 150% 이하 6,030,424원 초과 ~ 7,538,030원 이하 최대 30%
라형 150% 초과 ~ 200% 이하 7,538,030원 초과 ~ 10,050,706원 이하 최대 15%
마형 200% 초과 10,050,706원 초과 지원 없음

※ 기준 중위소득은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르며, 건강보험료 납부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3. 본인 부담금

1. 시간제 서비스 (기본형)

  • 이용 대상: 생후 3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 아동
  • 기본요금: 시간당 12,180원
  • 본인 부담금 예시 (A형, 2018.1.1. 이후 출생 아동 기준)
유형정부지원금본인부담금
가형 10,354원 (85%) 1,826원
나형 7,308원 (60%) 4,872원
다형 3,654원 (30%) 8,526원
라형 1,828원 (15%) 10,352원
마형 지원 없음 12,180원

2. 종합형 서비스 (가사활동 포함)

  • 기본요금: 시간당 15,830원
  • 본인 부담금 예시 (A형 기준)
유형정부지원금본인부담금
가형 10,354원 (65%) 5,476원
나형 7,308원 (46%) 8,522원
다형 3,654원 (23%) 12,176원
라형 1,828원 (12%) 14,002원
마형 지원 없음 15,830원

3. 영아종일제 서비스

  • 이용 대상: 생후 3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영아
  • 기본요금: 시간당 12,180원
  • 본인 부담금: 시간제 서비스와 동일한 기준 적용

4. 질병감염아동 지원 서비스

  • 이용 대상: 법정 전염성 및 유행성 질병에 감염된 만 12세 이하 아동
  • 기본요금: 시간당 14,610원
  • 본인 부담금 예시 (A형 기준)
유형정부지원금본인부담금
가형 12,420원 (85%) 2,190원
나형 8,766원 (60%) 5,844원
다형 7,305원 (50%) 7,305원
라형 7,305원 (50%) 7,305원
마형 7,305원 (50%) 7,305원

※ 질병감염아동 서비스는 정기아동만 이용 가능하며, 정부지원시간 차감 여부에 따라 지원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추가 혜택 및 유의사항

  • 다자녀 가정: 본인 부담금의 10% 추가 지원
  • 야간 및 공휴일 이용 시: 기본요금의 50% 추가 요금 발생
  • 동시 돌봄 아동 수에 따른 요금 감액:
    • 2명: 25% 감액
    • 3명: 33.3% 감액

 

아이돌봄 서비스는 양육의 부담을 덜어주는 매우 실질적인 제도입니다. 자신의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정확한 소득 산정과 신청 자격 확인이 필수입니다. 육아와 일을 병행 중인 가정이라면 꼭 신청해보세요!